ESG3 비슷한 듯 다른 책임 있는 투자 방식들 ■ 비슷한 듯 다른 책임 있는 투자 방식들 1. 투자의 목적은 무엇일까? 일반적으로 투자는 생산시설이나 사회간접자본 등에 자본을 투하하는 행위 또는 이익을 얻기 위해 자본이나 자금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. 하지만 투자업계에서도 투자자 및 자본의 역할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있다. 블랙록이 투자의 핵심으로 지속가능성을 꼽았고, 한국의 금융권들도 ESG, 즉 환경과 사회와 거버넌스를 고려한 투자를 하겠다고 한다. 이처럼 투자의 가치는 더 이상 수익에 관한 것만이 아니다. 속으로는 여전히 수익에 대한 욕구가 가장 클 수 있지만, 적어도 겉으로는 지속가능한 세상에 그들의 자본이 사용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. 또한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자본을 사용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투자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. .. 2023. 8. 11. 사랑받는 기업이 되어야 하는 이유 ■ 사랑받는 기업이 되어야 하는 이유 1. ESG가 중요해지면서 많은 기업이 ESG 경영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, 앞으로 할 것인지 알리고 있다. 실제로는 ESG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, 조직적인 대응과 성과 관리 등이 미흡함에도 불구하고, 외부로는 ESG에 대해 관심이 많고 잘하는 기업처럼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다. 왜 기업은 언론이나 SNS 등의 채널을 통해 그들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에 관해 이야기할까? 기업 내부적으로 조용하게 ESG 경영을 잘하면 되지 않을까? 얼마 전 SK그룹에서 ESG 업무를 담당하는 임원께서 하신 말이 있다. 어느 모임에 참석해서 ESG 관련 이야기를 나누었는데, 당시 참석자 중 한 명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는 것이다. "ESG, 당연히 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?.. 2023. 8. 11. 일석이조의 투자 습관(주식) ■ 일석이조의 투자 습관, ESG 1. 이제 주식투자는 더 이상 성인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가 아니다. 2021년 4월 한국예탁결제원은 19세 이하 투자자 수가 27만 4,000명으로 전년(9만 9,000명) 대비 177% 급증했다고 밝혔다. 10대 투자자들이 보유한 금액은 3조 6,000억 원에 달할 정도로 그 규모 또한 결코 작지 않다. 이러한 미성년 주식투자 열풍은 청소년들에게까지 한탕주의가 확산했다는 평가가 있기도 하지만, 주식을 통해 조기 경제교육을 하려는 '마마 개미' '파파 개미' 덕에 '10대 개미'가 부쩍 는 것이 사실이다. 그동안 주식시장은 '투기판'이라는 인식이 강해 아이들에게 주식을 권하는 일이 많이 않았다. 하지만 이런 인식은 크게 변했다. 투기가 아닌 투자로, 일반적인 경제활동 중.. 2023. 8. 11. 이전 1 다음